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헬스케어
- 논문
- 파이썬
- 프로그래머
- 언리얼엔진
- modbus-tcp
- C언어
- Protocol
- GPT
- 개발자
- SNMP
- 게임개발
- Detectron2
- 호흡분석
- 네트워크
- ChatGPT
- connx
- yolo
- 딜러닝
- 리뷰
- python
- V3
- ctypes
- 이터널리턴
- 설치
- 딥러닝
- trapmessage
- 챗지피티
- MODbus
- 논문리뷰
- Today
- Total
목록NOTE (73)
yusukaid's IT note

챗지피티를 요즘 많이 사용하는데, "파일로 만들어줘"를 굉장히 유용하게 쓸 것이라고 생각한다. 굳이 직장인이 아니라 일반 유저라도 운동 루틴 체크표 같은 걸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.근데 그냥 "만들어줘"라고만 하면, 지피티가 만들어준 파일의 한글은 깨져서 내용을 알아볼 수가 없다.보통 이런 문제의 원인은 '폰트' 문제이다. 지피티에 한글을 쓸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, 한글이 깨져서 입력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. 이 문제를 해결해보자.1. 원하는 폰트 검색 및 다운로드필자는 프리텐다드 폰트를 굉장히 애용한다. 해당 폰트의 다운로드 링크를 따라가자.https://noonnu.cc/font_page/694 눈누프리텐다드 - 길형진 (orioncactus)noonnu.cc파일을 다운받..

개요MQTT (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)는 IoT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량의 Publish/Subscribe (발행/구독) 프로토콜이다. 저전력과 낮은 대역폭 환경에서도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.Publisher: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Subscriber: 특정 데이터를 받는 클라이언트Broker: 중개자로서 Publisher가 보낸 데이터를 받아 Subscriber에게 전달 상세다음은 MQTT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와 프로토콜의 특징이다.Topic: 메시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이름으로, 데이터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.MQTT Broker: 메시지 중개자인증 방식: 안전한 통신을 위해 ID/PW 또는 PSK (Pre-Shared Key)를 ..

개요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이다. 이름 그대로 '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'이다.상세🔸 SNMP (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)정의: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조회하거나 설정하는 표준 프로토콜용도: CPU 사용률, 온도, 포트 상태 등 확인versionv1: 기본적인 버전v2, v2cv3: 암호화 기능이 추가된 버전 (SHA1, SHA256, MD5)구성 요소Managed Device: SNMP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노드로서 읽기/쓰기 접근을 허용함 Agent: Managed Device 위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, 장비에 상주하는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모듈NMS (Network Management Station..

개요Modbus는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해 1979년에 개발된 산업용 프로토콜이다. 원래는 시리얼, 즉 유선 통신을 위해 고안되었으나 TCP/IP를 비롯한 네트워크 방식에서도 동작하도록 확대되었다. 현대에 와서는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효율적이기 때문에 꽤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.Modbus-TCP vs Modbus-RTU🔸 Modbus-TCP정의: Ethernet 기반 산업용 통신 프로토콜용도: PLC, 센서, 컨트롤러와의 데이터 송수신주의할 점:포트 번호는 보통 502명확한 슬레이브 주소와 레지스터 맵 이해 필요🔸 Modbus-RTU정의: RS485 기반 시리얼 통신용 Modbus 프로토콜특징: 배선 단순, 통신 속도 빠름주의할 점:통신 충돌 방지를 위한 슬레이브 ID 설정이 매우 중요CRC..

RS232와 485는 통신 장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포트다. 이들의 특징과 차이점을 간단하게 정리해보자.🔸 RS232정의: 가장 오래된 시리얼 통신 방식. 1:1 연결 (point-to-point)특징: 통신 거리가 짧고 (약 20m) 느림 (약 10MB/S). 노이즈에 취약함주의할 점:간단한 장비 연결에 유용하지만 산업 현장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"시리얼 포트"라 불리지만 USB-to-Serial 등으로 변환 필요🔸 RS485정의: 1:N 연결이 가능한 시리얼 통신 방식 (멀티 드롭)특징: 통신 거리가 길며 (약 3000m) 속도가 빠름 (약 20KB/S). 노이즈에도 강함주의할 점:Master-Slave 구조에서 주소 지정 필요종단 저항(Termination resistor) 설정 안 하면 통..

출처: https://arxiv.org/pdf/2306.08302 데브스택이라는 기업에서 면접 진행 중인데, 해당 논문에 대한 자세한 리뷰가 필요하다 해서 오랜만에 돌아온 논문 리뷰.AbstractGPT를 비롯한 대형 언어 모델 (이하 LLM)은 뛰어난 능력과 일반화 가능성으로 자연어 처리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새로운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. 허나 LLM은 블랙박스 모델이기 때문에 현실의 지식을 이용하고 접근하기에 부족하다. 반면 지식 그래프 (이하 KG)는 현실의 지식을 명시적으로 저장하는 구조화된 모델로서, 추론 및 해석 가능성에 대한 외부 지식을 제공해 LLM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. 하지만 KG 또한 자체척으로 발전하고 진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 방법에 도전하는 것 또한 본 논문의 목적이다...